📌 ICAO와 IATA의 차이는 뭘까? – 항공에서 쓰이는 국제 코드 3가지
🌐 “ICN? RKSI? 똑같은 인천공항인데 왜 코드가 다를까?”
항공권이나 플라이트 레이더를 보다 보면 **ICN, JFK, LHR, RKSI, KLAX** 같은 코드들을 볼 수 있어요.
전부 공항 이름 같지만, 코드가 두 종류로 나뉘죠.
이번 글에서는 항공에서 쓰이는 국제 코드 3가지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리해볼게요!
✈️ 1. IATA 코드 – 항공권과 탑승객 중심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는 국제항공운송협회로, **민간 항공사 중심의 국제 조직**이에요.
- IATA 코드는 **3자리 영문 알파벳**으로 구성 - 항공권, 수하물 태그, 공항 탑승 안내 등에 사용 - 예시: - 인천국제공항: ICN - 뉴욕 JFK 공항: JFK - 파리 샤를드골: CDG
📍 **일반 소비자들이 가장 자주 접하는 코드**라고 보면 돼요!
🛫 2. ICAO 코드 – 조종사와 관제사가 쓰는 공식 코드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는 국제민간항공기구로, **국가와 정부 간 항공 규정 중심**의 조직이에요.
- ICAO 코드는 **4자리 영문 코드** - 항공 교신, 항공 관제, 비행계획서 등에서 사용 - 예시: - 인천국제공항: RKSI - 김포국제공항: RKSS - LA국제공항: KLAX
📍 **조종사, 항공 관제사들이 사용하는 기술적 코드**입니다.
📦 3. 항공사 코드 – 항공편 번호와 함께 쓰이는 약칭
항공사는 각기 고유의 코드명을 가지고 있어요.
이건 주로 항공편 번호와 함께 사용됩니다.
- IATA 항공사 코드: **2자리 알파벳 또는 숫자** - 대한항공: KE - 아시아나항공: OZ - 에미레이트: EK - ICAO 항공사 코드: **3자리 영문 코드** - 대한항공: KAL - 아시아나: AAR
예: KE123 = 대한항공 항공편 123편
✅ 요약하자면?
항공 코드에는 1) IATA: 승객 중심, 2) ICAO: 조종·관제 중심, 3) 항공사 코드로 나뉘어요.
같은 공항이라도 코드가 다르니, 상황에 따라 올바른 코드를 구분해서 보는 습관이 필요해요!
#항공용어 #IATA코드 #ICAO코드 #공항코드 #항공사코드
'항공Q&A . 용어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셰어(Code Share)란? – 항공권 예약 시 헷갈리는 코드의 3가지 의미 (0) | 2025.04.10 |
---|---|
비행기는 왜 비행 중에도 흔들릴까? – 기체 흔들림, 난기류에 대한 3가지 궁금증 (0) | 2025.04.10 |
비행기는 왜 창문을 내려야 할까? – 기내 창문 관련 궁금증 3가지 (1) | 2025.04.09 |
V1, VR, V2 속도란? – 조종사가 이륙 전에 외우는 3가지 중요한 숫자 (0) | 2025.04.09 |
비행기는 왜 활주로를 따라 이륙할까? – 수직 이륙이 어려운 3가지 이유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