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술 10

비행기 점검 주기, 얼마나 자주 할까? – A부터 D까지 정비 등급 완벽 정리

✈️ 서론“비행기는 매일 날아다니는데 정비는 언제 할까?”비행기를 자주 타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궁금했을 질문이죠.비행기는 일반 차량과는 다르게,철저하고 계획적인 정기 점검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요.오늘은 A-check부터 D-check까지 정비 등급을 기준으로비행기가 얼마나 자주, 얼마나 깊게 점검받는지 알아볼게요. 🔧 본문1. 항공기 점검은 ‘예방 정비’가 핵심정비는 고장 나서 하는 게 아니라,**고장 나기 전에 미리 막기 위한 정비(계획정비)**예요.시간, 비행 횟수, 착륙 수, 기체 나이 등을 기준으로 주기 설정. 2. 항공 정비의 4단계 – A부터 D까지정비 등급주기내용시간A-check보통 500~800 비행시간마다외관 점검, 유압/연료 상태, 기내 시스템 점검약 6~12시간B-check일부 항..

항공정비사는 비행기에 타지 않을까? – 정비사와 테스트 플라이트의 진실

✈️ 서론비행기의 안전을 책임지는 항공정비사,그런데 정작 그 비행기에 정비사는 안 탄다는 말, 들어본 적 있나요?오늘은 항공정비사가 비행기에 타는 경우와정비와 관련된 **테스트 비행(테스트 플라이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볼게요.  🔧 본문1. 항공정비사는 일반적으로 탑승하지 않는다여객기의 경우, 정비사는 보통 지상에서만 업무 수행비행 전/후 점검 후 → 이륙 전 보고서 제출 → 조종사 확인 → 출발실제 항공편에 함께 타는 경우는 극히 드묾2. 예외적인 탑승: 테스트 플라이트D-check 이후나 중대 정비 후에는기체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비행을 실시이때 일부 정비 엔지니어가 탑승하여엔진 소음계기 수치진동, 응답 시간 등을 직접 확인→ 주로 전문 테스트 조종사 + 시니어 정비사만 탑승3. ..

항공정비사가 자주 쓰는 도구들 – 비행기를 고치는 장비 이야기

✈️ 서론비행기 정비라고 하면 거대한 기체와 복잡한 전선, 엔진 등이 떠오르죠.그걸 다루는 정비사들은 과연 어떤 공구와 장비를 사용할까요?오늘은 항공정비사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자주 쓰는 도구들을 소개해드릴게요.항공기라는 복잡한 기계를 다루는 만큼, 사용하는 공구도 일반 자동차 정비와는 꽤 다릅니다 🔧 본문1. 항공정비 공구는 ‘정밀함’이 생명항공기는 부품 하나 잘못 조이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토크, 각도, 크기가 매우 중요합니다.2. 자주 사용하는 공구 TOP 5토크 렌치 (Torque Wrench)→ 볼트를 **정해진 힘(토크)**으로 조이기 위한 필수 도구→ 너무 세게 조이면 금속 피로, 약하게 조이면 이탈 위험세이프티 와이어 플라이어 (Safety Wire Pliers)→ ..

비행기 바퀴는 언제 교체할까? – 착륙 충격을 견디는 타이어의 비밀

✈️ 서론비행기가 착륙할 때마다 엄청난 충격과 마찰음이 들리죠?그 충격을 바로 흡수하는 게 비행기 타이어입니다.그런데 궁금하지 않나요?이렇게 큰 무게와 속도를 견디는 바퀴는 도대체 언제, 어떻게 교체할까?오늘은 그 비밀을 알려드릴게요. 🔧 본문1. 비행기 타이어의 내구성여객기 1대의 무게: 약 60~300톤착륙 시 타이어는 200~300km/h의 속도로 지면과 접촉타이어는 고온, 고압, 고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됨일반 타이어보다 3~5배 더 단단한 특수 고무 사용2. 타이어 교체 기준자동차처럼 ‘주행거리’로 판단하지 않음착륙 횟수(Landing Cycle) 기준: 보통 250~400회표면 마모, 균열, 손상 여부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일정 기준 이상이면 전체 교체 or 재생(Retread) 처리3. 정비사의..

항공정비사는 어떤 일을 할까? – 하루 일과와 정비 종류 정리

✈️ 서론비행기는 수천 명의 생명을 싣고 날아오르는 만큼,철저한 정비가 필수입니다.그리고 이 중요한 일을 책임지는 사람이 바로 항공정비사죠.그렇다면 항공정비사는 정확히 어떤 일을 할까요?오늘은 항공정비사의 실제 업무와 정비 종류를 소개해드릴게요. 🔧 본문1. 항공정비사는 비행기를 ‘진단’하고 ‘처방’하는 사람출발 전, 도착 후, 정기 점검 등 모든 과정에 정비사가 개입단순히 고장만 고치는 게 아니라, 문제가 생기기 전 예방하는 게 주업무정비 이력 기록, 부품 교체, 작동 테스트 등도 포함됨2. 정비 종류는 여러 가지라인 정비(Line Maintenance): 공항 현장에서 빠르게 점검베이스 정비(Base Maintenance): 정비고에서 상세하게 분해·점검정기 점검: A-check ~ D-check까..

비행기는 어디로 날아가는 걸까? – 항로와 항공 교통의 비밀

✈️ 서론비행기는 하늘을 자유롭게 나는 것처럼 보이지만,사실은 **정해진 길, 즉 항로(airway)**를 따라 날아갑니다.이 항로는 마치 하늘의 고속도로 같은 개념이죠.오늘은 비행기가 어떤 경로로 어디를 통과하며 이동하는지,일반인이 알기 어려운 하늘길의 구조를 소개해드릴게요.  🔧 본문1. 하늘에도 길이 있다 – 항로란?항로(항공로)는 비행기가 날 수 있는 구역과 경로를 뜻해요.VOR(VHF Omnidirectional Range) 라는 무선 송신기를 기준으로여러 지점(waypoint)을 이어 구불구불한 하늘길이 만들어져요.→ 비행기는 이 경로를 GPS + 항법 장비를 통해 따라가게 됩니다.2. 항로는 누가 정할까?각 나라의 항공 당국(한국은 국토교통부)이 정하고,국제 노선은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비행기 날개 끝에 위로 올라간 부분의 정체 – 윙렛(Winglet)의 역할

✈️ 서론비행기 날개를 자세히 보면, 끝이 위로 살짝 휘어 올라가 있는 걸 본 적 있나요?어떤 기종은 뾰족하고, 어떤 건 V자 모양처럼 보이기도 하죠.이 구조물의 이름은 **‘윙렛(Winglet)’**이고,이 작은 날개 하나가 연료 절약, 소음 감소, 안정성 향상까지 도와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본문1. 윙렛의 정체윙렛은 **날개 끝에서 생기는 소용돌이(와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해요.비행기가 공중을 날 때 날개 위쪽과 아래쪽의 압력 차이 때문에날개 끝에서 회오리 바람이 생기는데, 이게 **항력(공기 저항)**을 발생시켜요.2. 항력을 줄이면 무슨 일이 생기나?연료 소모가 줄어들고속도가 더 유지되며비행 안정성도 향상됩니다즉, 윙렛 하나만으로도 항공사 입장에서는 연료비 절감,승객 입장에서는..

비행기 창문은 왜 네모가 아니라 동그랗게 생겼을까?

✈️ 서론비행기를 탈 때 가장 설레는 순간 중 하나는, 창가에 앉아 창밖을 내다보는 일이죠.그런데 눈여겨보면 창문이 전부 둥그렇게 생겼다는 걸 알 수 있어요.왜 네모나 사각형이 아니라 둥글게 만들었을까요?이유는 단순히 예쁘기 때문이 아닙니다. 안전을 위한 과학적인 설계가 숨어 있죠.   🔧 본문1. 초창기 비행기 창문은 사각형이었다1950년대 초반, 영국의 ‘코멧’ 여객기는 창문이 사각형이었어요.하지만 몇 건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서 문제가 드러났죠.2. 사각형 창문의 약점: 스트레스 집중고도 10km 상공에서는 기내 외부와 내부의 기압 차이가 커요.그 압력이 모서리에 집중되면 균열이 생기고, 파손 위험이 높아져요.이걸 응력 집중 현상이라고 해요.3. 둥근 창문은 압력을 분산시킨다둥근 모양은 모서리가 ..

비행기 속도, 얼마나 빠를까? – 자동차, 총알과 비교해보면

✈️ 서론하늘을 가르는 비행기, 눈으로 봐도 정말 빠르죠?하지만 우리는 실제로 비행기의 ‘속도’를 체감하기 어렵습니다.오늘은 비행기의 속도를 자동차, 총알, 고속열차 등과 비교하면서얼마나 빠른지 쉽게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 본문1. 비행기의 평균 속도는?보잉 737: 약 850km/h보잉 747: 약 900~950km/h에어버스 A380: 약 1,000km/h 이상즉, 1시간에 서울~부산을 2번 왕복할 수 있는 속도예요.2.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하면?일반 자동차: 100~120km/hKTX: 약 300km/h고속도로 과속 차량: 200km/h→ 비행기는 자동차의 8~10배 이상, KTX의 3배 속도예요.3. 총알보다 빠를까?총알 속도는 보통 약 1,200~1,500km/h→ 여객기는 총알보단..

비행기는 왜 공중에서 멈추지 못할까? – 고정익 항공기의 구조 원리

✈️ 서론자동차는 멈추면 멈춘 대로 있고, 헬리콥터는 공중에서 가만히 떠 있을 수 있는데,비행기는 왜 그렇게 못 할까요?어릴 때 한 번쯤 떠올려봤던 질문이죠.오늘은 비행기가 공중에서 정지하지 못하는 이유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본문1. 비행기의 추진 원리비행기는 앞쪽으로 빠르게 이동해야만 날개에 양력이 생깁니다.즉, **"앞으로 가야 떠 있을 수 있다"**는 구조예요.이런 항공기를 고정익 항공기라고 부릅니다.2. 헬리콥터는 왜 떠 있을 수 있을까?헬리콥터는 회전날개(로터)가 계속 회전하면서 공기 흐름을 만들기 때문에제자리에서도 양력이 생기고, **공중 정지(호버링)**가 가능해요.비행기는 날개가 고정되어 있어서 이게 불가능합니다.3. 예외는 없을까?비행기 중에서도 VTOL기체(수직이착륙기)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