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잡학사전

비행기는 왜 공중에서 멈추지 못할까? – 고정익 항공기의 구조 원리

경기도 고라니 2025. 4. 2. 23:04

✈️ 서론

자동차는 멈추면 멈춘 대로 있고, 헬리콥터는 공중에서 가만히 떠 있을 수 있는데,
비행기는 왜 그렇게 못 할까요?
어릴 때 한 번쯤 떠올려봤던 질문이죠.

오늘은 비행기가 공중에서 정지하지 못하는 이유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본문

1. 비행기의 추진 원리

비행기는 앞쪽으로 빠르게 이동해야만 날개에 양력이 생깁니다.
즉, **"앞으로 가야 떠 있을 수 있다"**는 구조예요.
이런 항공기를 고정익 항공기라고 부릅니다.

2. 헬리콥터는 왜 떠 있을 수 있을까?

헬리콥터는 회전날개(로터)가 계속 회전하면서 공기 흐름을 만들기 때문에
제자리에서도 양력이 생기고, **공중 정지(호버링)**가 가능해요.
비행기는 날개가 고정되어 있어서 이게 불가능합니다.

3. 예외는 없을까?

비행기 중에서도 VTOL기체(수직이착륙기) 같은 특수 기종은 공중 정지가 가능하긴 해요.
하지만 일반적인 민항기나 여객기는 전부 고정익이기 때문에
정지하면 곧바로 추락 위험이 생깁니다.

 

 

 

✅ 결론

비행기는 날개에 양력을 얻기 위해 계속 이동해야만 공중에 떠 있을 수 있어요.
멈춘다는 건 곧 양력을 잃는다는 뜻이기 때문에, 공중에서 ‘멈춰있기’는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