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잡학사전

비행기는 어떻게 속도를 줄일까? – 착륙을 돕는 3가지 감속 장치

경기도 고라니 2025. 4. 6. 23:53

📌 비행기는 어떻게 속도를 줄일까? – 착륙을 돕는 3가지 감속 장치

 

🛬 비행기가 착륙할 때는 어떻게 멈출까요?

하늘을 시속 800km로 날던 비행기가 활주로에 닿자마자 빠르게 속도를 줄이는 모습, 인상 깊죠?
사실 비행기는 단순히 브레이크만으로 멈추지 않아요.
여러 감속 장치들이 함께 작동하며 안전한 착륙을 돕습니다.
그 핵심 장치를 3가지로 소개할게요.


🪂 1. 스포일러(Spoiler)

날개 위에 있는 ‘판’처럼 생긴 장치예요.
착륙 직후 스포일러가 펼쳐지면서 양력을 줄이고 저항을 증가시켜 속도를 급격히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날개에서 '덜컥' 올라오는 걸 본 적 있나요? 그게 스포일러예요.

🌀 2. 역추진 장치(Thrust Reverser)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는 여객기는 착륙 직후 엔진 배기 방향을 바꾸는 ‘역추진’을 사용해 뒤로 밀어내는 힘을 만들어냅니다.
이 덕분에 추가적인 감속 효과를 얻고, 활주로 길이가 짧은 공항에서도 착륙이 가능하죠.

🛞 3. 랜딩기어 브레이크

비행기 바퀴에도 자동차처럼 브레이크 시스템이 있어요.
특히 항공기엔 탄소 브레이크와 다중 디스크 방식이 쓰여서 높은 마찰력으로 속도를 빠르게 줄일 수 있어요.
단, 바퀴 브레이크는 활주로에 닿은 뒤에만 작동해요!


✅ 요약하자면?
비행기는 착륙 시 스포일러, 역추진, 브레이크를 복합적으로 활용해 빠르고 안전하게 속도를 줄입니다.
이 덕분에 수백 톤의 기체가 부드럽게 멈춰설 수 있는 거예요!

#비행기감속 #착륙원리 #스포일러 #역추진장치 #항공상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