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엔진은 어떻게 점검할까? – 항공정비사가 수행하는 3단계 엔진 검사 절차
📌 비행기 엔진은 어떻게 점검할까? – 항공정비사가 수행하는 3단계 엔진 검사 절차
🛠️ “수백 톤짜리 비행기를 띄우는 엔진, 고장은 없을까?”
항공기 엔진은 **항공기 전체 중에서도 가장 정밀하고 민감한 부품**이에요.
순항 중 갑자기 멈춘다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정기적인 엔진 점검과 유지관리는 비행 안전에 있어 핵심 중의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항공정비사가 비행기 엔진을 어떻게 점검하는지** 실제 작업 기준에 맞춰 3단계로 정리해볼게요.
🔍 1단계: 외부 시각 점검 – 눈으로 확인하는 이상 여부
비행 전 또는 비행 후에는 **정비사가 직접 엔진 외부를 육안으로 점검**해요.
이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단계예요.
체크 항목:
- 엔진 외부 케이싱에 균열, 찌그러짐, 오염물질 유무
- 팬 블레이드 손상 여부 – 팬 앞쪽의 날개를 직접 확인
- 오일 누출, 배기관 손상, 타오른 흔적 등
📌 이 작업은 **조종사 인계서(tech log)**에 기록되며, 발견된 이상은 즉시 정비 기록 시스템에 입력돼 추적됩니다.
🧪 2단계: 작동 점검 – 엔진 성능, 센서 값 확인
다음으로는 **시동 후 엔진 작동 상태를 점검**해요.
항공기는 지상에서도 엔진을 일정 시간 시동할 수 있고, 이때 **전문 장비로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중점 점검 항목:
- EGT (배기가스 온도)
- N1/N2 (회전수) → 팬과 고압 터빈 회전 속도
- 오일 압력, 연료 흐름량, 진동값 등
✅ 정비사는 **기종별 한계값을 기준**으로 수치를 비교하며, 기체 컴퓨터에 저장된 **FADEC 시스템 로그**도 함께 분석해요.
🧩 3단계: 주기 정비 – 분해 검사 및 보어스코프 내시경 점검
정기적인 A Check, C Check 등 정비 주기에 따라 **엔진 내부까지 점검하는 정밀 검사**도 진행됩니다.
- 보어스코프 점검: 내시경 장비를 통해 **엔진 내부의 압축기, 터빈, 연소실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 - 연료계통 및 윤활계통 클리닝, 필터 교체 - 심한 마모나 손상이 발견되면 해당 모듈 단위로 교체하거나 전체 엔진을 탈거 후 정비공장(MRO)으로 송출하기도 합니다. 📌 이러한 중정비는 일반 공항이 아닌 **전문 정비기지**에서 수일~수주 단위로 진행되며, 수많은 작업자가 체크리스트에 따라 정밀하게 관리해요.
✅ 요약하자면?
비행기 엔진은 1) 육안 점검, 2) 센서 기반 작동 점검, 3) 내부 정밀 검사로 단계별로 철저히 관리되고 있습니다.
수많은 정비사가 매일같이 엔진 상태를 확인하고 기록하는 덕분에, 우리는 하늘 위에서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거예요.
#항공정비 #비행기엔진 #엔진점검 #보어스코프 #항공정비사